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
자유무역과 블록경제. 궁금하지? #잡지식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9. 5. 08:20
자유무역. 이론은 좋다. 그러나 정말 모두가 공평하게 무역의 혜택을 누리는 것이 가능할까? 사람들은 비합리적으로 움직이는데 말이다. 심지어 어느 나라는 지구 반대편에 있다. 완전한 자유무역은 수십년 째 묘연하다. 무역으로 윈윈하는 아이디어에서, 주변부터 활발하게 하자는 대안에 이어, 지역의 이익을 지키는 보호막으로. 1. 자유무역 아이디어 위 포스트처럼 양쪽이 생산을 해서 무역을 하면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건 이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해. 그러나 한 쪽이 생산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면 어떻게 될까? 팔 물건이 없으면, 살 돈도 없다는 건데, 무역이 무슨 의미야? 나한테 필요한 물건이 있어야, 무역을 하는 거 아니야? 그러니 일단 물건이 있는 쪽하고 거래를 먼저 해야지. 응? 팔 물건조차 없던 상황이 있냐고?..
-
안심하고 투자하는 방법, 헷지의 중요성 #3분흡수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9. 3. 08:15
단타? 좋지. 방식은 다양하니까. 그래도 안전한 방법은 병행해야 하지 않겠어? 1. 헷지(hedge)? 헷지는 영어로 울타리라는 뜻이래. 울타리? 뜬금없이? 이 울타리에 많은 것을 함께 담는다고 생각해봐. 소랑 돼지를 키운다고 생각해보자. 소 값이 떨어져도 돼지가 멀쩡하면? 소 두 마리 키울 때보다 손해 덜 보지? 헷지는 곧 '위험성 분산'의 의미로 쓰여. 2. 위험성 분산 = 손해 감소 = 이익 감소 그러면 이익은 안 늘어나는 거 아니냐고? 그렇지. 덜 잃는다고, 이익이 바로 늘어나진 않지. 100만원이 있다고 치자. A주식의 변동성이 10%라고 하자. 100만원을 다 넣으면, 10%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10% 손해를 입을 수도 있어. 110만원이 되거나, 90만원이 되거나. 50만원만 투자하면?..
-
금리인상? 자이언트?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잡지식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8. 29. 08:26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75bp(0.75%)의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같은 역할을 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 사태에 대응하여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기준금리, 시장금리, 콜금리, 이런 거 뭐야? 대체로 기회비용과 위험성에 따라 이자가 높아지는 거라고 보면 돼. 1. 기회비용과 위험성 예를 들자. 100만원을 예금에 1년 넣어두면 10% 이자를 준다고 치자. 그런데, 돈을 넣어두는 시간에 테슬라는 80% 상승할 수도 있지? 하지만 중간에 예금을 해지하면 그냥 입출금 통장에 돈을 넣어둔 것과 똑같아져. 이자를 받기는 커녕 시간만 낭비했지. 그렇다고 테슬라가 반드시 80% 상승하는 것은 아니잖아? 다시 말해, 돈이 반강제로 묶일수록, 금융상품이 위험할수록, 이자를 높게 주어야 해..
-
자유무역, 세계 번영의 시작. 그 원리 #잡지식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8. 28. 08:11
인류사 최대의 번영. 자유로운 물품과 서비스의 교환으로 인한 거래의 극대화. 그리고 성장. 1. 껌을 먹고 사는 '대한'의 경제는... 다중 우주에 나라 둘만 있다고 치자. 그리고 그 둘이 초과학적 워프게이트로 하찮게 바나나랑 껌만 무역한다고 치자. (?) 대한에는 3명이 살아. 셋이 부둥켜 안고 여러 음식을 교환하면서 살아. 껌을 생산한다고 치자. 껌이 먹히는 양은 3개지? 사람이 셋이니까? 그리고 그 껌을 사려고 돈을 쓰겠지? 그런데 대한은 껌을 사실 8개 생산할 수 있어. 껌 가격이 많이 낮고 돈을 많이 못 벌어. 그래서 3개만 생산해. 그리고 바나나는 너무 희귀해서 어쩌다 하나만 수확돼. 개 비싸. 2. 바나나를 먹고 사는 '소한'의 경제는... 소한에는 5명이 살아. 다섯이 으쌰으쌰 바나나 사먹..
-
하락장이 기회 아니야? 미국 증권시장 알아보기 #잡지식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8. 25. 00:00
NASDAQ과 S&P지수가 연이어 하락했다. 시장은 위험에 불감했다며, 자신을 책망했다. 미국은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FOMC 의사록에서 '더한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8월 25일 오늘, 금통위의 통화정책 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이 기정 사실이다. 혹자는 가을 내내 조정이 이루어지다가, 연말에 반등할 것이라고 한다. 아주 아픈 하락장. 누군가에겐 저가 매수의 기회. 1. 증권거래소 안과 밖 회사의 주식이 거래소에서 팔릴 수 있게 등록하는 걸 '상장'이라 그러지? 상장이 된 주식은 (모바일)거래소에서 매수 매도를 할 수 있어. 그런데 주식이 거래소에서만 거래 될까? '주권', 주주가 가진 주식의 권리는 거래소 밖에서 개인끼리 거래할 수도 있지. 앞의 사례를 장내, 뒤의 사례를 장외라 그래. 왜 장내에..
-
내맘대로 경제공부 4. 심리를 파악하자. 공포지수 #3분흡수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8. 24. 08:39
연준이 두 차례 금리인상을 했지만, 시장은 크게 무너지지 않고 적응했다. 여러 요인 때문이지만, 시장 참여자의 기대, 또는 '공포'가 누그러진 게 컸다. 기대와 우려로 뒤섞인 시장. 사람들이 '얼마나 두려워하는지' 알아야 한다 1. VIX지수 VIX는 Volatility Index, Chicago Board Options Exchange Volatility Index의 줄임말이야. 시카고옵션거래소에 S&P500 지수의 옵션이 상장되어있어. 앞으로 시장이 올라갈지, 떨어질지 다들 궁금해하겠지? 올라간다에 건 사람도 있고(콜), 떨어진다에 건 사람도 있을 거 아냐(풋)? 이 S&P500 지수 옵션의 다음 30일의 변동성을 어떻게, 얼마나 기대하는지 숫자로 보여주는 지수야. 지수 숫자가 40이라면, 30일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