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자유무역과 블록경제. 궁금하지? #잡지식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9. 5. 08:20
자유무역. 이론은 좋다. 그러나 정말 모두가 공평하게 무역의 혜택을 누리는 것이 가능할까? 사람들은 비합리적으로 움직이는데 말이다. 심지어 어느 나라는 지구 반대편에 있다. 완전한 자유무역은 수십년 째 묘연하다. 무역으로 윈윈하는 아이디어에서, 주변부터 활발하게 하자는 대안에 이어, 지역의 이익을 지키는 보호막으로. 1. 자유무역 아이디어 위 포스트처럼 양쪽이 생산을 해서 무역을 하면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건 이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해. 그러나 한 쪽이 생산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면 어떻게 될까? 팔 물건이 없으면, 살 돈도 없다는 건데, 무역이 무슨 의미야? 나한테 필요한 물건이 있어야, 무역을 하는 거 아니야? 그러니 일단 물건이 있는 쪽하고 거래를 먼저 해야지. 응? 팔 물건조차 없던 상황이 있냐고?..
-
일사부재리? 일사부재의? #잡지식_시사 이슈/사회 두입 2022. 9. 4. 08:29
1. 일사부재X? 쉽게 말해 낙장불입. 한번 한 건 다시 못한다는 이야기야. 쓸 데 없이 같은 일만 계속하면 사람들은 혼란에 빠지겠지? 주로 안정성, 법적 안정성을 위한 원칙이야. 그러므로 예외를 두는 데 신중히 결정해야 해. 한 사람이나 나라의 삶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어. 2. 일사부재리 一事不再理 Double Jeopardy 어떤 사건을 판결하고 확정이 되면, 그 사건을 다시 재판하지 않는다. 법적 안정성과 인권, 사법 체계의 효율성 모두를 위한 원칙이야. 너 집행유예 떴는데, 같은 사건으로 또 심판받아서 징역 살래? 한번 판결해놓고 다시 뒤집는 건 쉽지 않아. 대법원 판례가 하급법원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데, 그게 쉽게 뒤집히면 어떡해? 그래서 대법원이 재심 신청을 반..
-
안심하고 투자하는 방법, 헷지의 중요성 #3분흡수_경제 이슈/흐름 파악 한입 2022. 9. 3. 08:15
단타? 좋지. 방식은 다양하니까. 그래도 안전한 방법은 병행해야 하지 않겠어? 1. 헷지(hedge)? 헷지는 영어로 울타리라는 뜻이래. 울타리? 뜬금없이? 이 울타리에 많은 것을 함께 담는다고 생각해봐. 소랑 돼지를 키운다고 생각해보자. 소 값이 떨어져도 돼지가 멀쩡하면? 소 두 마리 키울 때보다 손해 덜 보지? 헷지는 곧 '위험성 분산'의 의미로 쓰여. 2. 위험성 분산 = 손해 감소 = 이익 감소 그러면 이익은 안 늘어나는 거 아니냐고? 그렇지. 덜 잃는다고, 이익이 바로 늘어나진 않지. 100만원이 있다고 치자. A주식의 변동성이 10%라고 하자. 100만원을 다 넣으면, 10%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10% 손해를 입을 수도 있어. 110만원이 되거나, 90만원이 되거나. 50만원만 투자하면?..
-
하락장에는 경기방어주! 꾸준한 인기와 이익, 그리고 성장 #잡지식_경제 이슈/주식 공부 두입 2022. 9. 2. 08:24
포트폴리오에 하나쯤은 있어야 할, 굳건히 버티는 성벽과 같은 주식 1. 경기방어주 무엇을 방어한다는 걸까? 경제에 충격이 와도, 그 여파를 견딘다는 뜻이야. 그런 주식들을 경기방어주라고 해. 경기는 회복, 확장, 수축, 침체 이 4단계를 거쳐. 계속 확장할 수 없냐고? 그건 힘들어. 나중에 얘기할게. 가장 좋은 건 어찌되었든, 확장을 길게 가져가고, 수축과 침체를 짧게 끝내는 거겠지? 확장일 때는 그대로지만, 침체일 때도, 그리 크게 충격받지 않는 곳들이 있어. 전기, 수도와 같은 기간 사업이나, 생필품, 식료품 같은 것들이지.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또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것들이니까. 아주 꾸준히 팔리는 것들 말이야. 이러한 사업들이 시장 장악력까지 가졌다면? 아주 믿음직하겠지? 우리 모..
-
특수상대성이론 야매 요약 #잡지식_과학 이슈/비전공자의 과학 이해 2022. 9. 1. 02:16
모든 물체는 시공간에서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 1. 시공간에서 광속의 움직임 모든 '물체'는 시공간에서 광속이야. 이 물의 총량을 빛의 속도라고 보자. 공간에서 빨리 움직일수록 시간에서 느리게 가. 반대로 공간에서 느리게 움직일수록 시간에서 빨리 가. 우리 다리로 빨리 달리면 시간이 조금은 느려진다고. 이걸 '시간지연' 효과라고 그래. 1:1로 교환되는 건 아니지만, 어쨌든 공간에서의 이동속도와 시간에서의 이동속도의 합이 빛의속도 라고 머리에 넣어둬. 가만히 멈춰있으면, 시간 "광속" + 공간 "0" = 광속 광속으로 달리면, 시간 "0" + 공간 "광속" = 광속 2. 100M 달리기의 가정 윗놈은 100M에 10초 걸리고, 아랫놈은 광속에 가깝게 엄청 빠르게 간다고 치..